WSL에서 Minikube 설치 및 실행하기
WSL에서 Minikube를 설치하고 실행하기 위한 단계별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.
이전 글 확인
가. WSL 버전 확인
wsl --list --verbose
- WSL2가 필요합니다. 이를 확인하기 위해 PowerShell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세요.
- WSL 버전 2가 나와야 합니다. 만약 WSL 1이라면, WSL 2로 업그레이드해야 합니다.
나. Docker Desktop 설정 확인
- Docker Desktop이 WSL 2 엔진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.
- Docker Desktop > Settings > General에서 `Use the WSL 2 based engine`이 체크되어 있어야 합니다.
다. Minikube 다운로드
curl -LO https://storage.googleapis.com/minikube/releases/latest/minikube-linux-amd64
- WSL 터미널을 열고, 최신 버전의 Minikube를 다운로드합니다. 이렇게 하려면 다음 커맨드를 사용합니다.
라. 파일 실행 권한 부여
chmod +x minikube-linux-amd64
마. 파일 이동
sudo mv minikube-linux-amd64 /usr/local/bin/minikube
바. Minikube 시작
minikube start --driver=docker
- Docker를 드라이버로 사용하여 Minikube를 시작합니다. WSL에서 이 명령어를 실행하세요.
- 기본값으로 minikube 시작을 하면 CPU, Memory가 2core, 약 4G 정도로 세팅되며, minikube에 여러 솔루션을 설치시 자원 부족으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하세요.
1. CPU 할당
minikube start --cpus=2
2. Memory 할당
minikube start --memory=4096
3. 디스크 공간 할당
minikube start --disk-size=20g
4. 조합하면(샘플) - 설치된 서버 자원의 50% 이상 할당 금지
minikube start --cpus=2 --memory=4096 --disk-size=20g
사. 상태 확인
minikube status
- Minikube가 제대로 시작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,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
아. Kubectl 다운로드
curl -LO "https://storage.googleapis.com/kubernetes-release/release/$(curl -s https://storage.googleapis.com/kubernetes-release/release/stable.txt)/bin/linux/amd64/kubectl"
자. 다운로드한 파일에 실행 권한 부여
chmod +x ./kubectl
카. 파일을 시스템 경로로 이동
sudo mv ./kubectl /usr/local/bin/kubectl
타. Kubectl 버전 확인
kubectl version --client
- 설치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.
'99. Windows11 실습 환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로컬 Git 리포지토리와 GitHub의 리포지토리를 연동하는 방법 (0) | 2024.01.13 |
---|---|
07. GitHub에서 새로운 저장소를 생성하는 방법 (1) | 2024.01.13 |
06. WSL에 Git 최신 버전 설치(최신 버전 설치 안될시) (0) | 2024.01.13 |
05. WSL(Windows Subsystem for Linux)을 설치하고 Docker Desktop을 설치한 이유 (0) | 2024.01.13 |
04. Docker Desktop을 WSL과 함께 최적으로 설치하고 활용하기 위한 가이드 (0) | 2024.01.12 |